Skip to document

HALLIDAY, RESNIK, WALKER의 “일반물리학, 11판(PRINCIPLES OF PHYSICS, 11TH EDITION) 제21장 전하

HALLIDAY, RESNIK, WALKER의 “일반물리학, 11판(PRINCIPLES OF PHYSICS, 11TH EDI...
Course

일반물리학 (PHYS151)

78 Documents
Students shared 78 documents in this course
University

고려대학교

Academic year: 2021/2022
Uploaded by:
Anonymous Student
This document has been uploaded by a student, just like you, who decided to remain anonymous.
고려대학교

Comments

Please sign in or register to post comments.

Preview text

21장 전하 - 1 -

제 21 장 전하

21-1 Coulomb의 법칙
어떤 물리현상을 다루는가?
원자의 구조 그림 21-2에 보어(Bohr)의 원

####### 자모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다음과

####### 같이 설명된다.(원자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40

####### 장과 42장에서 취급한다.)

####### (1) 원자의 중심에 위치한 원자핵은 그림

21-3과 같이 양성자(proton)와 중성자

(neutron)로 구성되어 있는데, 핵에 있는

####### 양성자의 수가 그 원자의 원자번호 이

####### 다.

(2) 핵 주위에 위치한 전자(electron)들은 반지름이 

####### 인 원 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데, 중성상태

####### 원자의 경우 전자의 수와 양성자의 수가 동일하다.

####### (3)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자는 원자에 구속된다.

####### 

전자

####### 

####### 

####### 

####### 

####### 

####### 

####### 

####### 

####### 

####### 그림 21 - 2 원자의 구조.

####### 그림 21 - 3 원자핵의 모습.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 양성자

: 중성자





Si : 질량수가 인 Si (21)

: 원자

◯◯◯◯
◯◯◯◯◯
◯◯◯◯

####### 그림 21 - 1  물질의 일반적인 모습.  원

자적 관점에서 관측한 물질의 구조. 물질은 수많

은 원자들이 모여 구성되어 있다.

#######  

21장 전하 - 2 -

전자(electron)

####### (1)

####### 

#######  

####### 

####### 

#######  × 



C : 여기서 “C”는 전하의 SI 단위로서 “쿨롱(coulomb)”이라고 읽는다.

####### 전자는 더 이상 쪼갤 수 없으므로 전하의 최소 단위는 

####### 

#######  × 



####### C

####### 인데, 이를 “기본전하

####### ”라 한다. 즉, 

####### 

####### 

####### 

#######  × 



####### C

####### 이다. 따라서 전자의 전하는 

#######  

####### 이다.

####### (2) 

####### ≈ 

####### 

#######  × 



kg

####### (3) 전자를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즉, 그림 13-2와 같이 특정한 원자에 구속되어 원자핵

주위를 돌고 있는 구속전자(bound electron)와 특정한 원자 또는 분자에서 떨어져 나와 물

질 내부를 자유롭게 운동할 수 있는 자유전자(free electron)로 구분할 수 있다.

양성자(proton)

####### (1) 

####### 

####### 

####### 

#######  × 



####### C  

#######  : 전자의 전하와 크기는 같고 부호는 반대다.

####### (2) 

####### ≈  × 

 

kg : 전자 질량에 비해 약 배 큰 값이다.

중성자(neutron)

####### (1) 

#######  :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 (2) 

####### ≈  × 

 

kg : 전자 질량에 비해 약 배 큰 값이다.

전하

양이온

자유전자 원자

◯ ◯

####### 그림 21 - 4 전기적으로 중성상태인

####### 원자가 가 양이온과 자유전자로 분리

되는 모습.

◯◯◯◯
◯◯◯◯◯
◯◯◯◯

● ●

◯◯◯◯
◯◯◯◯◯
●◯◯◯◯

◯◯◯
◯◯◯◯◯
◯◯◯◯

● ●

◯◯◯◯
◯◯◯◯◯
◯◯◯◯

● ●

: 원자

◯ ◯

: 양이온

● : 자유전자

####### 그림 21 - 6  두 물체 모두 전기적으로 중성상태에 있는 모습.  물체에 있던 자유전자의

일부가 물체로 이동한 모습.

####### ① ② ① ②

####### 

####### 

####### 

####### 

: 원자

◯◯◯◯
◯◯◯◯◯
◯◯◯◯

● ●

: 양이온

: 자유전자

####### 그림 21 - 5 고체를 구성하는 원자의

####### 일부가 가 양이온과 자유전자로 분리

되어 있는 모습.

21장 전하 - 4 -

유도전하 자유전자의 이동에 의해 형성.

중성 구리막대

음(-)으로 대전된

플라스틱 막대

####### 그림 21 - 7

전기력의 방향

####### 그림 21 - 8

유리막대

유리막대

유리막대

플라스틱막대

도체, 절연체, 반도체

####### ① 도체 : 금속과 같이 물질내부에서 전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물질.

####### ② 절연제 : 유리 및 플라스틱 등과 같이 물질 내부에서 전하가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는 물질.

####### ③ 반도체 : 실리콘 및 게르마늄 등과 같이 도체와 절연체의 중간성질을 가지는 물질.

접지, 방전 그림 21-

####### 

####### 

####### 

####### 와 같이 도선을 이용하여 물체와 지

####### 표면 사이에 전하의 이동로를 만들어주는 것을 접지시킨다고 한

####### 다. 대전된 물체를 접지시키면 물체에 있던 과잉전하(알짜전하)

####### 가 지표면으로 이동하는데, 이와 같이 한 물체에서 다른 물체로

과잉전하가 이동하는 현상을 방전(electric discharge)이라고 한

####### 다. 접지된 물체의 알짜전하는 결국

####### 

####### 

####### 

####### 이 된다.

#######  그림 21 - 9 

지표면

명주실

도선

#######   

#######   

####### 

####### 

####### 

21장 전하 - 5 -

라이프세이버 사탕에서 나오는 푸른빛 섬광 그림 21-10은

####### 라이프세이버 사탕을 씹어서 두 조각으로 쪼개질 때 조각 가 조

####### 각 보다 자유전자를 조금 더 가지고 있는 모습이다. 이때 희미한

####### 푸른 빛이 나오는 현상을 다음과 같이 해석해 보자.

####### 조각 에 있는 자유전자는 조각 에 있는 양이온이 당기는 힘에

####### 의해 조각 로 건너뛸 수 있는데, 이때 자유전자가 질소분자와 충

####### 돌하여 자외선을 방출한다. 자외선은 우리 눈으로 볼 수 없지만, 사

####### 탕표면에 붙어있는 윈터그린향 분자가 자외선을 흡수한 후, 우리가

####### 볼 수 있는 푸른 빛을 방출하므로서 사탕을 씹을 때 푸른 빛이 나오는 것처럼 보인다.

Coulomb의 법칙 1735년 Coulomb는 두 점전

####### 하 

####### , 

####### 가 그림21-16과 같이 거리  만큼 떨어져

####### 있을 때 

####### 에 작하는 정전기력을 다음과 같이 정리.

####### 

####### 

####### 

####### 

####### 

####### 

####### 

####### 

####### 

 (Coulomb의 법칙) (21)

####### 

####### 

####### 

####### 

####### ≈  × 

N‧m

####### C

####### (21)

####### 

o

####### ≈  × 



####### C

N‧m

####### (21)

####### ☞ 

는 자유공간(free space)의 유전상수(dielectric constant) 또는 유전율(permittivity).

####### ☞ 자유공간 : 아무 것도 없이 완전히 비어있는 공간. 즉, 완전한 진공상태의 공간.

정전기상수 를 고려하면 Coulomb의 법칙을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 

####### 

####### 

####### 

####### 

o

####### 

####### 

####### 

####### 

####### 

####### 

 (Coulomb의 법칙) (21)

####### ☞ 두 점전하 사이에 작용하는 힘을 구할 때, 식 (21)을 사용하여 크기와 방향을 한 번에

####### 구해도 좋으나, 숙달되기 전까지는 두 점전하의 부호를 고려하여 방향을 결정하고 크기는

####### 다음 식으로 구하여 그 결과들을 결합시켜도 된다.

####### 

####### 

####### 

####### 

o

####### 

####### 

####### 

 

####### 

####### 

(Coulomb의 법칙 : 힘의 크기) (21)

전기력의 중첩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21)

가 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

####### 그림 21 - 10

####### 

####### 

● ●

####### 

####### 

####### 

####### 

####### 

####### 

####### 

####### 그림 21 - 11

21장 전하 - 7 -

####### 보기문제 21. 02 ) 그림 21-

####### 

####### 

####### 

####### 와 같이 

####### 은 원점에 위치해

####### 있고, 

####### 는 

####### 

####### 인 지점에 있다. 

####### 

####### , 

#######  

####### 일 때

####### 전하량이 

####### 인 양성자를 어떤 위치에 놓을 때 평형(양성자에

####### 작용하는 알짜 힘이 인 상태)을 이룰 수 있는가? 이 평형은

####### 안정한가, 불안정한가?

####### 풀이) 양성자는 양의 전하 

####### 를 가지는데(

####### 

####### ), 양성자가

####### 위치하는 영역별로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을 살펴보자.

####### 1) 그림 와 같이 양성자가  영역에 위치할 때.

####### 

####### 이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

####### 

####### 

####### 과 

####### 가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

####### 

####### 

####### 가 모두

####### 

####### 방향을 향하므로 이들의 합이 이 될 수 없으

####### 므로 이 영역에서 평형을 이룰 수 없다.

####### 2) 그림

####### 

####### 

####### 

####### 와 같이 양성자가 

####### 

#######  영역에 위치할 때.

####### 

####### 과 

####### 가 각각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은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a)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b)

####### 인데 

####### 

####### 

####### 

####### 이고, 

#######  

####### 

####### 

####### 

####### 

이므로  

####### 

####### 

 

####### 

####### 이다. 따라서 이 영역에서 

####### 

####### 

####### 

####### 을

####### 만족하는 평형점은 없다.(차원 문제이므로, ±부호로 

####### 과 

####### 방향을 표현했다.)

####### 3) 그림 와 같이 양성자가  영역에 위치할 때.

####### 양성자에 작용하는 힘을 구하면 다음과 같다.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 

####### 

o

####### 

####### 

####### 

####### 

####### 

####### 

####### 

####### 

####### 

(c)

####### 따라서 을 만족하는 위치 는 다음과 같이 구해진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d)

####### 제곱근을 구할 때 도 생각할 수 있는데, 이때는 이 된다. 이는 의미가 없는 해이므로

####### 버려야 된다.

####### 이 안정한 평형점이 되려면 양성자가 에서 

####### 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을 때 식 (c)

####### 로 표현되는 힘이 방향을 향하고, 방향으로 약간 이동했을 때 힘이 방향을 향해야 되

는데, 식 (c)를 보면 힘이 양성자가 평형점에서 벗어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은 불안정

####### 한 평형점이다.(안정한 평형점이 되려면 물체가 평형점에서 벗어났을 때 작용하는 힘이 복원력 형

####### 태로 작용해야 된다.)

####### 그림 21 - 13

####### 

####### 

####### 

21장 전하 - 8 -

####### 보기문제 21. 03 ) 그림 21-

####### 

####### 

####### 

####### 는 동일한 두 도체공 , 가 거리 만큼 떨어져 있는 모습이다.

####### 이때 공 에는

####### 

####### 의 양전하가 대전되어 있으며 공 는 전기적으로 중성이다. 공의 크기에 비

####### 해 가 매우 크다고 생각하고 다음을 답하시오.

####### 그림 21 - 14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a) 두 도체공을 도선으로 연결했다가 시간이 충분히 경과한 후, 도선을 제거했을 때 두 도체공

####### 사이에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얼마인가?

####### 풀이) 두 도체공일 동일한 경우, 그림

####### 

####### 

####### 

####### 와 같이 두 도체공을 도선으로 연결시켜주면 이들이 평

####### 형을 이룰 때까지 방전되어 그림

####### 

####### 

####### 

####### 와 같이 각각의 공에 동일한 전하량이 분포한다. 따라서 이때

####### 작용하는 정전기력의 크기는 다음과 같다.

####### 

####### 

####### 

####### 

o

####### 

####### 

####### 

#######  

####### 

####### 

####### 

####### 

o

####### 

####### 

####### 

####### 

(b) 다음은 도체공 를 그림 와 같이 접지시켜 완전히 방전되었을 때, 이들 사이에 작용하는

####### 정전기력은 어떻게 되는가?

####### 풀이) 그림 와 같이 도체공 가 완전히 방전되면 공 의 알짜 전하량이 이므로, 두 공 사이

####### 에 작용하는 정전기력도 이 된다.

21장 전하 - 10 -

21-3 전하는 보존된다.

####### 이미 여러 번 고찰한 바와 같이 물체가 대전되거나 방전되는 현상은 자유전자가 한 물체에서 다

####### 른 물체로 이동하는 현상이다. 즉 고립계의 알짜 전하량은 언제나 일정하므로, 고립계의 전하량은

####### 보존된다.

####### 원자핵이 다른 종류의 원자핵으로 변화하는 원자핵의 방사성 붕괴에서도 전하가 보존되는 것을

####### 알 수 있다. 그 예로서 다음과 같은 방사성 붕괴를 고찰해 보자.



####### U

####### →



Th

He (21)

입자

####### 우라늄 (질량수가  인 우라늄)은 원자번호가 이므로 양성자 수가 개 이고,

####### 토륨 는 원자번호가 이므로 양성자 수가 개 이다. 그리고 입자는 헬륨의 원자핵인

####### 데 헬륨은 원자번호가 이므로 양성자 수가 개 이다. 따라서 붕괴 전⋅후에 양성자 수의 변

####### 화가 없으므로 방사성 붕괴과정에서도 전하가 보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물론 질량수도 변화가

####### 없다.

전하보존의 또 다른 예로서 반입자들의 쌍생성과 소멸과정을 고찰해 보자. 1928년 Dirac은 전자

####### (

####### )와 질량과 스핀은 같으나 전하량이 반대인 입자의 존재를 예언했다. 이와 같이 질량과 스핀은

동일하나 전하량이 반대인 입자를 반입자(antiparticle)라 한다. 전자에 대응되는 반입자를 양전자

####### (

, positron)라고 한다. 전자양전자 쌍은 대전된 고에너지 입자나 선이 물질과 충돌할 때

####### 발생하는데, 이와 같은 쌍생성은 다음과 같이 표현된다.

#######  → 

####### 

####### (쌍생성) (21)

####### 그리고 쌍생성의 역과정, 즉 전자와 양전자가 두 개의 

####### 

####### 선으로 변환되는 쌍소멸 과정은 다음과

####### 같이 표현된다.

####### 

####### 

####### 

####### → 

####### 

#######  (쌍소멸) (21)

####### 식 (21)과 (21)의 선은 동일한 것이 아니고 에너지가 서로 다른 별개의 선 이다. 이

####### 와 같은 반입자들의 쌍생성과 소멸과정에서도 과정의 전과 후에 알짜전하량이 모두 이므로 전하

####### 가 보존됨을 알 수 있다.

####### 반입자에 대한 내용은 44장에서 공부한다!

Was this document helpful?

HALLIDAY, RESNIK, WALKER의 “일반물리학, 11판(PRINCIPLES OF PHYSICS, 11TH EDITION) 제21장 전하

Course: 일반물리학 (PHYS151)

78 Documents
Students shared 78 documents in this course

University: 고려대학교

Was this document helpful?
21장 전하
백종성의 강의노트 - 1 -
21 전하
21-1 Coulomb의 법칙
어떤 물리현상을 다루는가?
원자의 구조 그림 21-2에 보어(Bohr)의
자모형을 개략적으로 나타냈는데, 이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원자에 대한 자세한 용은 40
장과 42장에서 취급한다.)
원자의 중심에 위치한 원자핵은 그림
21-3과 같이 양성자(proton)와 성자
(neutron) 구성되어 있는데, 핵에 있는
양성자의 수가 원자의 원자번호
다.
주위에 위치한 전자(electron)들은 반지름이
궤도를 따라 돌고 있는데, 중성상
원자의 경우 전자의 수와 성자의 수가 동일하다.
원자핵과 전자 사이에 용하는 정전기력에 의해 전자 원자에 구속된다.
그림 21-2 원자의 구조.
그림 21-3 원자핵의 모습. 원자핵은
양성자와 중성자로 구성되어 있다.
: 양성자
: 중성자
Si : 량수가  Si (21.1)
: 원자
그림 21-1 물질의 일반적인 모습.
자적 관점에서 관측한 물질의 구조. 물질은 수많
원자들이 모여 구성되어 있다.